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초등부 소식3

어머님! 규칙은 이렇게 정해야 합니다. 아이가 어느정도 성장하면서 자신의 의사표현을 할 시기에 부모님은 규칙을 정합니다. 규칙을 통해 아이가 올바른 사회인으로서 성장하며 앞으로 스스로 잘 헤쳐나가기를 바라는 목적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자문할것이 있습니다. ‘규칙을 어떻게 정합니까?’ 매우 간단한 질문이지만 대답은 쉽지 않습니다. 보통 규칙은 엄마가 정합니다. 물론 아이의 안정과 올바른 인성을 위해 규칙을 정하지만, 문제는 아이가 그 규칙이 왜 필요한지 이해를 했는지 관건입니다. 단지 유튜브 영상보는 시간, 혹은 하루 일과 중에 공부는 언제할 것인지 기타 등등 규칙을 정합니다. 하지만 아이들은 ‘왜’ 그것이 잘못되었는지 그리고 그 규칙이 ‘왜’ 자신에게 필요한지 이해를 못합니다. 물론 100%이해는 못해도 최소 아이가 어느정도는 수긍을 .. 2022. 4. 17.
초등학교 때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만드는 방법! 종종 중학교 이상 자녀를 둔 어머님들은 이웃집 아이는 스스로 알아서 잘하는데 왜 우리 아이는 그렇지 않는지 궁금해 한다. 똑같이 학원도 보내고 나름 교육에 많은 정성을 기울였는데도 마찬가지다. 이점과 관련해서 황정연 컨설팅은 이렇게 말한다.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는 초등 학교 때 습관으로 결정됩니다. 또한 아이들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를 알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아이가 선택할 수 있는 힘에서 출발합니다.” 그렇다면 모든 부모님들의 로망인 ‘우리 아이 자기주도학습태도’를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초등학교 입학해도 많은 부모님들은 아이의 판단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물론 부족하다. 하지만 아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맡겨야 한다. 스스로 결정할 수 있다는 자신감과 아이의 결정을 부모님이 응원하고 존중할.. 2022. 4. 14.
혹시 나는 아이에게 독불장군형일까? 어떤 교육상담가는 아이와 엄마가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상담하러 올 때 ‘엄마가 문제인 경우가 제법 있다’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아이가 원하는 것인지 아니면 ‘엄마가 젊은 시절 이루지 못한 것을 아이가 이루길 바라는 것인지 헷갈린다’라고 언급했다. 필자도 수많은 학생들과 학부모님을 상담하면서 엄마의 독불장군형을 많이 상담하였다. 그러면 그런 어머니 밑에서 자란 아이들은 과연 학업 성취도가 좋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중3 혹은 사춘기 때 욕구 및 불만 분출과 함께 고등학교 때 좋지 않은 결과를 많이 봤다. 그러면서 어머님들이 이렇게 말씀하신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때는 말도 잘 듣고, 열심히 했는데.......” 차이가 무엇일까? 이런 아이들은 어린 시절 엄마의 지시와 명령으로 그냥 따르는 것에 익숙하다. 즉 .. 2022. 4. 11.
반응형